'3D 프린터'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5.04.04 3D 프린터로 출력시 주의점

  1. 자나깨나 불조심. 특히 ramps 보드가 발열이 심하다고 한다. 핫엔드 써미스터가 고장 시 또는 스텝모터 발열 등으로 화재가 날 수도 있으니 조심하자. 출력시켜놓고 자리를 비우는 것은 자제하자.
  2. Bed의 수평이 중요하다. 출력물을 떼내고 다음 출력을 하려고 베드를 다시 놓는 과정에서 비스듬히 놓였는데 이를 모르고 출력시키면.. 망한다.
  3. 어느날 갑자기 핫엔드의 온도가 들쭉날쭉한다? 평소에는 2~3도 정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게 잘 쓰다, 어느 날 갑자기 10~20씩 온도가 들쭉날쭉 한다면??? 핫엔드의 고정나사가 헐거워져서 그럴 가능성이 크다. 핫엔드를 제 위치에 잘 고정 시켜 보자. 또는 써미스터가 고장일 수도 있다.
  4. 출력 속도를 너무 빠르게 하면 출력물의 질이 좋지 않다. 출력 속도가 중요한 상황인지, 아니면 출력물의 질이 중요한지 판단하여 출력 속도 등을 조절한다. 빠르면 60, 느리면 20 정도에서 조절해준다.
  5. Shell이 붙어있지 않고 떠 있다면? 출력량이 부족해서 그럴 수 있다. 압출량을 늘리거나, 출력속도를 줄여보자.
  6. 출력중에 보드를.. 특히 스텝모터 드라이버를 만지지 말자! 정전기에 민감해서 만지는 순간 탈조가 일어나며 출력물을 망친다.
  7. 이유 없이 출력물의 탈조가 일어난다면 stepper motor driver의 “ref” pin을 돌려 전압을 조절해본다.

  1. 압출량을 너무 많게 하지 말자. extruder 기어/모터를, 심지어 노즐부를 망가뜨리는 원인이 된다. 노즐과 익스트루더가 감당할 수 있는 만큼의 압출량을 주어야 한다.
  2. 오버행(천장과 같이 공중에 떠 있는 구조물)이 있는 출력물의 경우 support를 사용하자.
  3. 조립된 핫엔드가 노즐 부 등이 헐거워지지 않았는지 항상 살피자. 노즐부가 헐거워진 경우 녹은 PLA 등이 그 부위로 줄줄 새게 되어 출력을 망치고,심지어 핫엔드를 못쓰게 만든다. 그래서 헐거워지지 않는 완전 일체형 핫엔드를 사용하기도 한다.
  4. 모든 부품에 유격이 없도록 하자. 롤러의 경우 잘 풀어지는데, 이렇게 되면 출력물의 질이 떨어진다.
  5. 기름칠을 잘하자. 구리스/WD40 등.. 없으면 식용유라도.. 움직임이 많은 기계에 마모/손상을 막기 위해서는 기름칠이 필수!
  6. PLA 필라멘트가 익스트루더에 원활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방법을 강구하자. 롤러 등을 이용한 홀더/Pulley/spooler 등이 있으니 출력해 만드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Posted by 멋진 신세계
: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44)
3D 프린터 (1)
3D 디자인 프로그램 (43)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달력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otal :
Today : Yesterday :